본문 바로가기

Network6

[Network] 모두의 네트워크(네트워크란, 패킷) 모두의 네트워크(네트워크란, 패킷)해당 포스팅은 모두의 네트워크 책을 정리한 내용으로 네트워크와 패킷에 대해 다룬다.네트워크란컴퓨터 네트워크 란 컴퓨터 2대 이상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며 네트워크를 이용해서 컴퓨터 간의 데이터 전송, 웹 사이트 열람, 메일 송/수신 과 같은 일을 할 수 있다.인터넷이란 전 세계 큰 네트워크부터 작은 네트워크까지 연결하는 거대한 하나의 네트워크이다.패킷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서는 규칙이 필요하다. 이 규칙에 패킷을 이용한다.패킷 이란 컴퓨터 간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작은 조각을 의미한다.패킷은 작게 나누어 보내도록 한다. 데이터가 크다면 대역폭을 많이 점유하여 다른 패킷의 흐름을 막을 수 있다.패킷을 분할하여 수신 .. 2025. 6. 9.
[Network] Unicast, Broadcast, Multicast Unicast 목적지 주소를 가지고 전달되는 방식. 1 대 1 통신 Broadcast 자신이 속해있는 네트워크의 모든 컴퓨터에게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식. 데이터를 받지 않아도 되는 컴퓨터에게도 데이터가 전달되며 이를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OSI 3계층 프로토콜인 ARP가 Broadcast의 한 종류이다. Multicast 자신이 속해있는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컴퓨터에게만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식. 2022. 3. 25.
[Network] OSI 7계층 OSI 7계층 국제표준화모델에서 개발한 통신 모델로써,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을 계층을 나눠 설명한 것이다. 송신 호스트에서 데이터를 전달할 때는 동료 프로세스에서 직접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하위 계층에 서비스를 요청하고 이 요청은 물리 계층까지 반복된다. 수신 호스트에서는 상위 계층으로 데이터가 전달되면서 프로토콜 기능이 동작한다. 각 계층이 직접 통신하는 것이 아니라 항상 물리 계층을 통해 데이터가 전송된다. 물리 계층 물리적 매체를 통해서 데이터 비트를 전송하기 위해 요구되는 기능들을 정의하며 케이블. 연결 장치 등 전송에 필요한 두 장치 간의 실제 접속과 기계적, 전기적 특성에 대한 규칙. 전송단위 : 비트(Bit) 프로토콜 : 이더넷, RS-232C 등 장비 : 허브, 리피터 데이터 계.. 2022. 3. 24.
[Network] 프로토콜 프로토콜 통신 프로토콜 또는 통신 규약은 컴퓨터나 원거리 통신 장비 사이에서 메시지를 주고 받는 양식과 규칙의 체계, 즉 통신 규약 및 약속이다. 기본요소 구문(Syntax) :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형식(Format), 부호화(Coding), 신호 레벨(Signal Level) 등을 규정 의미(Semantics) : 두 기기 간의 효율적이고 정확한 정보 전송을 위한 협조 사항과 오류 관리를 위한 제어 정보를 규정 시간(Timing) : 두 기기 간의 통신 속도, 메시지의 순서 제어 등을 규정 종류 계층 프로토콜 응용 계층 HTTP, SMTP, FTP, Telnet 표현 계층 ASCII, MPEG, JPEG, MIDI 세션 계층 NetBIOS, SAP, SDP, NWLink 전송 계층 TCP, UDP.. 2022. 3. 23.
TCP 연결 - 3 way handshake 2015. 6. 26.
서버와 클라이언트 통신(소켓) 2015. 6. 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