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65

트리(Tree) 트리(Tree) 트리 - 나무와 유사하게 계층적 구조를 띄고 있는 자료구조- 주된 목적은 탐색이며, 의사 결정, 파일 시스템, DBMS 등 다양한 곳에서 응용됨 트리의 구조 - 뿌리(Root), 가지(Branch), 잎(Leaf, 단말 - Terminal) 세가지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 뿌리(Root) 노드 : A- 가지(Branch) 노드 : B, C, D, E, F, G- 잎(Leaf), 단말(Terminal) 노드 : I, J, K, L- B와 C는 형제 노드, D와 E는 B의 자식 노드, A는 B의 부모 노드 트리의 용어 - 경로(Path) : 한 노드에서부터 다른 노드까지 이르는 길 사이에 놓여있는 노드들의 순서- 길이(Length) : 경로가 가지는 속성, 출발 노드에서 목적지 노드까지 거.. 2015. 7. 29.
이중 연결 리스트(Doubly Linked List) 이중 연결 리스트(Doubly Linked List) 2015. 7. 26.
단순 연결 리스트(Simple Linked List) 단순 연결 리스트(Simple Linked List) 연결 리스트 - 어떤 데이터를 저장할 때 다음 자료가 있는 위치를 포함시키는 방식으로 자료를 저장- 동적 할당을 이용하여 필요할 때마다 길이를 늘리고 줄일 수 있다.(메모리 관리 용이) 2015. 7. 26.
View(뷰) View View(뷰) - 쿼리 상에서만 존재하는 테이블이며, 테이블처럼 행동하고, 테이블에 할 수 있는 조작을 똑같이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가상 테이블이라고도 함 - 특징- 뷰가 정의된 기본테이블이 변경되면, 뷰도 자동적으로 변경- 외부 스크마는 뷰와 기본 테이블 정의로 구성- 뷰에 대한 검색은 기본 테이블과 동일하지만 삽입, 삭제, 갱신 시 제약- 보안 측면에서 활용 가능- CREATE 문에 의해 생성되며 SYSVIEW에 저장됨- 한 번 정의된 뷰는 변경할 수 없으며, 삭제 후 다시 생성해야 함- 뷰의 정의는 ALTER 문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없음- 뷰 제거 시 DROP 문 사용- 기본 테이블 제거 전에 뷰를 먼저 제거해야 함 - 장점- 논리적 독립성을 제공- 데이터 접근 제어로 보안 가능- 뷰를.. 2015. 7. 26.
기본키와 외래키 기본키와 외래키 기본키 - 테이블에 저장된 각 데이터를 유일하게 구분하는 키- Null 값을 가질 수 없음 외래키 - 테이블 A 에서 테이블 B를 참조하고, 테이블 B 의 기본키가 테이블 A의 외래키- 한 릴레이션이 다른 릴레이션의 기본키와 같은 도메인 상에 정의된 속성을 가질 때 이 속성의 값은 Null이거나 이 속성을 기본키로 갖는 릴레이션 안에 존재하는 값이어야 한다는 조건 2015. 7. 26.
OpenCL 프로그래밍(2) 2015. 7. 2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