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65 CI란? CI Continuous Integration의 약자로 지속적인 통합을 의미한다.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 단위기능들을 통합하는 것이 아닌 개발과 동시에 통합을 진행함으로써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15. 6. 7. REST 서비스 REST 서비스 확장성 생성 언어(XML) 파일로 된 웹 페이지를 읽어 원하는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 웹 페이지를 만드는 사람은 주기적으로 내용을 개정하고 사용자는 그 페이지의 URL만 알면 웹 브라우저로 읽어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하이퍼텍스트 전송 규약(HTTP)과 XML을 포함한 웹 기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구조적 형태로서 단순 객체 접근 프로토콜(SOAP)보다 사용이 간편하고, 사이트 내용을 기술하는 RSS의 정보 편집 기능과 유사하다. 2015. 6. 7. NIO란? NIO New IO 패키지로써 nonblocking IO를 지원한다.Buffer클래스를 도입하여 기존에 단순배열로만 처리해야 했던 많은 부분들을 더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다룰 수 있도록 지원한다.기존의 스트림은 단방향이었으나 Channel을 도입하여 읽기, 쓰기, 읽고/쓰기 등의 세가지 형태의 작업방식을 지원하며 다양한 네이티브 IO서비스를 이용 가능하게 지원한다.버퍼, 채널과 함께 셀렉터를 이용하게 함으로써 단 한개의 쓰레드만으로 수천에서 수만명의 동시 사용자를 처리할 수 있는 서버를 만들 수 있게 지원한다. 2015. 6. 7. 추상 클래스 vs 인터페이스 추상 클래스 vs 인터페이스 추상클래스 - 객체를 생성할 수 없으며 추상메서드와 메서드, 멤버 변수를 가질 수 있다. - 상속을 통해 자손클래스에 의해서만 완성된다. 인터페이스- 추상메서드와 상수를 가진다. 일반 메서드 또는 멤버 변수를 가질 수 없다. - 인터페이스로부터만 상속을 받을 수 있으며 다중상속을 가능하게 한다. 2015. 6. 7. Thread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 Thread 구현 방법 1. java.lang.Thread 클래스 상속2. java.lang.Runnable 인터페이스 구현 2015. 6. 7. 객체지향 언어의 장점 객체지향 언어의 장점 - 코드의 재사용성이 높아 새로운 코드를 작성할 때 기존의 코드를 이용하여 쉽게 작성 가능- 코드의 관리가 용이하여 코드간의 관계를 이용해서 적은 노력으로 쉽게 코드 변경 가능- 제어자와 메서드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보호하고 올바른 값을 유지하도록 하며, 코드의 중복을 제거하여 코드의 불일치로 인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2015. 6. 7. 이전 1 ··· 40 41 42 43 44 45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