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65

[Python] 함수 함수 파이썬 함수는 def 키워드롤 통해 선언한다. def 함수이름(매개변수): .. return 결과값 일반적인 함수는 아래와 같이 입력값과 결과값을 가지고 있다. def add(a,b): return a + b a = add(3,4) print(a) 7 입력값이 없는 함수는 다음과 같다. def say(): return 'Hi' a = say() print(a) Hi 결과값이 없는 함수는 다음과 같다. def add(a,b): print("%d, %d의 합은 %d입니다." % (a,b,a+b)) add(3,5) 3, 5의 합은 8입니다. return 값이 없기 때문에 a 출력 시, None이 출력된다. a = add(3,5) 3, 5의 합은 8입니다. print(a) None 함수 호출.. 2024. 1. 17.
[Python] range() 함수 range 함수 파이썬에서 range() 함수는 연속된 숫자들을 만들어내는 내장함수이며 주로 for 반복문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아래 3가지 구문이 있다. range(stop) range(start, stop) range(start, stop, step) range(stop) range(stop) stop : 생성할 숫자 범위의 끝(이 값은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다.) range(stop) 는 0 부터 stop 이전까지의 숫자들을 포함하는 range 객체를 만들어 준다. 즉, range(0)는 해당하는 숫자 범위가 없기 때문에 empty가 리턴된다. range를 리스트로 변환하려면 list(range()) 처럼 리스트 생성자를 이용하여 변환 result = list(range(5)) print(r.. 2024. 1. 16.
[Python] 반복문 반복문 파이썬 반복문으로 while 과 for 가 있다. while 문 반복해서 문장을 수행하야 할 경우 사용한다. while : treeHit = 0 while treeHit < 10: treeHit += 1 print("나무를 %d번 찍었습니다." % treeHit) if treeHit == 10: print("나무 넘어간다") 나무를 1번 찍었습니다. 나무를 2번 찍었습니다. 나무를 3번 찍었습니다. 나무를 4번 찍었습니다. 나무를 5번 찍었습니다. 나무를 6번 찍었습니다. 나무를 7번 찍었습니다. 나무를 8번 찍었습니다. 나무를 9번 찍었습니다. 나무를 10번 찍었습니다. 나무 넘어간다 prompt = """ 1. Add 2. Del 3. List 4. Quit Endter number: """ .. 2024. 1. 15.
[백준 / BOJ] 10871번 - X보다 작은 수 백준 10871번 - X보다 작은 수 https://www.acmicpc.net/problem/10871 10871번: X보다 작은 수 첫째 줄에 N과 X가 주어진다. (1 ≤ N, X ≤ 10,000) 둘째 줄에 수열 A를 이루는 정수 N개가 주어진다. 주어지는 정수는 모두 1보다 크거나 같고, 10,0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www.acmicpc.net 문제 풀이 n, x = map(int, input().split()) arr = list(map(int, input().split())) for a in arr: if x > a: print(a, end=&#39; &#39;) 2024. 1. 14.
[백준 / BOJ] 8393번 - 합 백준 8393번 - 합 https://www.acmicpc.net/problem/8393 8393번: 합 n이 주어졌을 때, 1부터 n까지 합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www.acmicpc.net 문제 풀이 n = int(input()) sum = 0 for i in range(1, n+1): sum+=i print(sum) 2024. 1. 13.
[Python] 조건문 조건문(IF문) if : elif : else: 파이썬 조건문(IF)이란 참과 거짓을 판단하는 문장을 말한다. 비교연산자(==, >, =, = 3000: print(&#39;택시를 타세요&#39;) else: print(&#39;걸어가세요&#39;) 걸어가세요 money = 2000 card = True if money >= 3000 or card: print(&#39;택시를 타세요&#39;) else: print(&#39;걸어가세요&#39;) 택시를 타세요 pocket = [&#39;paper&#39;, &#39;cellphone&#39;, &#39;money&#39;] if &#39;money&#39; in pocket: print(&#39;택시를 타라&#39;) else: print(&#39;걸어가.. 2024. 1. 1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