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65

[CSS] 상속과 캐스케이딩 상속 상속이란 상위 요소에 적용된 속성을 하위 요소가 물려 받는 것을 의미한다. 속성 중에는 상속되지 않는 것과 상속되는 것이 있다. 속성 상속여부 width/height no margin no padding no border no box-sizing no display no visibility yes opacity yes background no font yes color yes line-height yes text-align yes vertical-align no text-decoration no white-space yes position no top/right/bottom/left no z-index no overflow no float no Web html css javascript Button.. 2022. 3. 3.
SISD / SIMD / MISD / MIMD SISD(Single Instruction Single Data stream) 제어장치와 프로세서를 각각 하나씩 갖는 구조 한 번에 한 개씩의 명령어와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일 프로세서 시스템 명령어가 순서대로 실행되지만 실행 과정은 여러 개의 단계들로 나누어 중첩시켜 실행 속도를 높이도록 파이프라인으로 되어있는 것이 보통 SIMD(Single Instruction Multiple Data stram) 배열 프로세서와 파이프라인이 이 분류에 속함 여러 개의 프로세서들로 구성되고, 프로세서들의 동작은 모두 하나의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 모든 프로세서들은 제어장치로부터 동일한 명령어를 받지만 명령어 실행 과정에서 서로다른 데이터들을 사용 모든 프로세서들이 기억 장치를 공유하는 경우도 있고, 각 프로세서가 기억 .. 2022. 3. 2.
[CSS] Visibility / Opacity Visibility 요소를 보이게 할지 보이지 않게 할지, 요소의 렌더링 여부를 결정하는 속성이다. visible : 요소를 보이게 한다. hidden : 요소를 보이지 않게 한다.(공간은 남아 있다.) collapse : table 요소에 사용하며, 행이나 열을 보이지 않게 한다. visibility 요소 visibility hidden 1 2 3 4 Opacity 요소의 투명도를 나타내는 속성이며 0.0(투명) ~ 1.0(불투명) 값을 가진다. Opacity 요소 2022. 3. 2.
[CSS] Display Display 브라우저가 요소를 화면에 나타내는 방법을 제어하는 속성으로 layout 정의에 자주 사용되는 속성이다. block : block 특성을 가지는 요소 inline : inline 특성을 가지는 요소 inline-block : inline-block 특성을 가지는 요소 none : 요소를 화면에 표시하지 않는다.(공간까지 사라진다.) block block 요소는 다음과 같다. 항상 새로운 줄에서 시작된다.(줄바꿈 된다.) 화면 전체 크기의 가로폭을 차지하며(width:100%) 높이는 콘텐츠 크기만큼 적용된다. widht, height, margin, padding 속성 지정이 가능하다. block 요소 내에 inline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div, h1~6, p, ol, ul, li, .. 2022. 3. 2.
[CSS] 박스(Box) 모델 Box 모델 모든 HTML 요소들은 Box 형태의 영역(컨텐츠가 자리하는 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폭, 여백, 테두리 등의 속성들을 지정할 수 있다. Content : 요소의 텍스트나 이미지 등 실제 내용이 위치하는 영역으로 width와 height 속성을 갖는다. Padding : 테두리 안쪽에 위치하는 요소의 내부 여백 영역이다. Border : 테두리 영역이다. Margin : 테두리 바깥에 위치하는 요소의 외부 여백 영역이다. Width / Height width와 height 속성은 요소의 너비와 높이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하며 콘텐츠 영역을 대상으로 한다. 초기값은 auto 로써 이것은 브라우저가 상황에 따라 적당한 width와 height 값을 계산할 것을 의미한다. 값을 지정하기 위해서는 px.. 2022. 3. 1.
[CSS] 선택자 CSS Selector(선택자) CSS 선택자 란 HTML을 꾸미기 위해 문서의 요소(대상)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말한다. 전체 선택자 전체 선택자는 문서의 모든 요소를 선택하고자 할 때 사용하며 * 를 사용한다. * { ... } 요소 선택자 요소 선택자는 문서의 특정요소를 선택하고자 할 때 사용하며 요소명을 사용한다. h1 { ... } p { ... } id 선택자 id 선택자는 요소에 id 속성, 이름을 생성하고 id 이름을 선택자로 하며 # 을 사용한다. #cssid { ... } class 선택자 class 선택자는 요소에 class 속성, 이름을 생성하고 class 이름을 선택자로 하며 . 를 사용한다. .cssclass { ... } 속성 선택자 속성 선택자는 요소에 해당하는 속성들을 지.. 2022. 3. 1.
728x90